Merge pull request #2960 from preco21/master

Update as upstream, improve grammar
This commit is contained in:
Cheng Zhao 2015-10-02 12:33:43 +08:00
commit 8385a73d69
4 changed files with 36 additions and 10 deletions

View file

@ -229,11 +229,11 @@ Menu.setApplicationMenu(menu);
또한 `template`에는 다른 속성도 추가할 수 있으며 메뉴가 만들어질 때 해당 메뉴 아이템의 프로퍼티로 변환됩니다.
### `Menu.popup(browserWindow[, x, y])`
### `Menu.popup([browserWindow, x, y])`
* `browserWindow` BrowserWindow
* `browserWindow` BrowserWindow (optional)
* `x` Number (optional)
* `y` Number (만약 `x`를 지정했을 경우 `y` 필수로 지정해야 합니다)
* `y` Number (만약 `x`를 지정했을 경우 반드시 `y`도 지정해야 합니다)
메뉴를 `browserWindow` 내부 팝업으로 표시합니다.
옵션으로 메뉴를 표시할 `(x,y)` 좌표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View file

@ -6,7 +6,7 @@
`screen`은 [EventEmitter](http://nodejs.org/api/events.html#events_class_events_eventemitter)를 상속 받았습니다.
**참고:** 랜더러 / DevTools에선 이미 DOM 속성이 `window.screen`을 가지고 있으므로 `screen = require('screen')` 형식으로 모듈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의 예제와 같이 `electronScreen` 같은 이름으로 모듈 이름을 대체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아래의 예제와 같이 `electronScreen` 같은 이름으로 모듈 이름을 대체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 예제는 화면 전체를 채우는 윈도우 창을 생성합니다:

View file

@ -181,3 +181,29 @@ proxy-uri = [<proxy-scheme>"://"]<proxy-host>[":"<proxy-port>]
* `path` String - 다운로드 위치
다운로드 저장 위치를 지정합니다. 기본 다운로드 위치는 각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디렉터리의 `Downloads` 폴더입니다.
### `session.enableNetworkEmulation(options)`
* `options` Object
* `offline` Boolean - 네트워크의 오프라인 상태 여부
* `latency` Double - 밀리세컨드 단위의 RTT
* `downloadThroughput` Double - Bps 단위의 다운로드 주기
* `uploadThroughput` Double - Bps 단위의 업로드 주기
제공된 설정으로 `session`의 네트워크를 에뮬레이트합니다.
```javascript
// 50kbps의 처리량과 함께 500ms의 레이턴시로 GPRS 연결을 에뮬레이트합니다.
window.webContents.session.enableNetworkEmulation({
latency: 500,
downloadThroughput: 6400,
uploadThroughput: 6400
});
// 네트워크가 끊긴 상태를 에뮬레이트합니다.
window.webContents.session.enableNetworkEmulation({offline: true});
```
### `session.disableNetworkEmulation`
활성화된 `session`의 에뮬레이션을 비활성화합니다. 기본 네트워크 설정으로 돌아갑니다.

View file

@ -127,31 +127,31 @@ app.on('ready', function() {
앱을 작성한 후 [어플리케이션 배포](application-distribution.md) 가이드를 따라 앱을 패키징 하고 패키징한 앱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Electron 실행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바로 실행해 볼 수도 있습니다.
### electron-prebuilt
### electron-prebuilt 사용
`npm`을 통해 `electron-prebuilt` 패키지를 전역에 설치하면 간단한 명령으로 앱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앱 디렉터리 내에서 이렇게 실행합니다:
앱 디렉터리 내에서 다음 명령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bash
electron .
```
또는 앱 디렉터리 밖에서 앱 디렉터리를 입력해도 됩니다:
또는 앱 디렉터리 밖에서 앱을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
```bash
electron app
```
npm 모듈을 로컬에 설치했다면 이렇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npm 모듈을 로컬에 설치했다면 다음 명령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bash
./node_modules/.bin/electron .
```
### 임의로 다운로드 받은 Electron
### 다운로드 받은 Electron 바이너리 사용
만약 Electron 바이너리를 임의로 다운로드 받았다면 다음과 같이 앱 디렉터리에 놓고 실행하면 됩니다.
따로 Electron 바이너리를 다운로드 받았다면 다음 예시와 같이 실행하면 됩니다.
#### Windo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