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x typos, add more files
This commit is contained in:
parent
bf5b084945
commit
ebb031dafe
45 changed files with 3450 additions and 239 deletions
|
@ -1,64 +1,51 @@
|
|||
# 빌드 시스템 개요
|
||||
# 빌드 시스템 개요
|
||||
|
||||
Electron uses `gyp` for project generation, and `ninja` for building, project
|
||||
configurations can be found in `.gyp` and `.gypi` files.
|
||||
Electron은 프로젝트 생성을 위해 `gyp`를 사용하며 `ninja`를 이용하여 빌드합니다.
|
||||
프로젝트 설정은 `.gyp` 와 `.gypi` 파일에서 볼 수 있습니다.
|
||||
|
||||
## Gyp 파일들
|
||||
## gyp 파일들
|
||||
|
||||
Following `gyp` files contain the main rules of building Electron:
|
||||
Electron을 빌드 할 때 `gyp` 파일들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릅니다:
|
||||
|
||||
* `atom.gyp` defines how Electron itself is built.
|
||||
* `common.gypi` adjusts the build configurations of Node to make it build
|
||||
together with Chromium.
|
||||
* `vendor/brightray/brightray.gyp` defines how `brightray` is built, and
|
||||
includes the default configurations of linking with Chromium.
|
||||
* `vendor/brightray/brightray.gypi` includes general build configurations about
|
||||
building.
|
||||
* `atom.gyp`는 Electron의 빌드 과정 자체를 정의합니다.
|
||||
* `common.gypi`는 Node가 Chromium과 함께 빌드될 수 있도록 조정한 빌드 설정입니다.
|
||||
* `vendor/brightray/brightray.gyp`는 `brightray`의 빌드 과정을 정의하고 Chromium과의 링킹에 대한 기본적인 설정을 포함합니다.
|
||||
* `vendor/brightray/brightray.gypi`는 빌드에 대한 일반적인 설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
||||
## 구성요소 빌드
|
||||
|
||||
Since Chromium is quite a large project, the final linking stage would take
|
||||
quite a few minutes, making it hard for development. In order to solve this,
|
||||
Chromium introduced the "component build", which builds each component as a
|
||||
separate shared library, making linking very quick but sacrificing file size
|
||||
and performance.
|
||||
Chromium은 꽤나 큰 프로젝트입니다. 이 때문에 최종 링킹 작업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
이러한 문제로 인해 개발 시 빌드 작업을 까다롭게 만듭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hromium은 "component build"를 도입했습니다.
|
||||
이는 각각의 컴포넌트를 각각 따로 분리하여 공유 라이브러리로 빌드 합니다. 이렇게 되면 링킹작업은 매우 빨라지지만 파일 크기와 성능이 느려집니다.
|
||||
|
||||
In Electron we took a very similar approach: for `Debug` builds, the binary
|
||||
will be linked to shared library version of Chromium's components to achieve
|
||||
fast linking time; for `Release` builds, the binary will be linked to the static
|
||||
library versions, so we can have the best possible binary size and performance.
|
||||
Electron도 상당히 비슷한 접근을 했습니다:
|
||||
`Debug`빌드 시 바이너리는 공유 라이브러리 버전의 Chromium 컴포넌트를 사용해서 링크 속도를 높이고
|
||||
`Release`빌드 시엔 정적 라이브러리 버전의 컴포넌트를 사용합니다.
|
||||
이렇게 각 빌드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여 디버그 시 빌드 속도는 향상되고 배포판 빌드 시 공유 라이브러리의 단점은 제거했습니다.
|
||||
|
||||
## 부트스트랩 최소화
|
||||
|
||||
All of Chromium's prebuilt binaries are downloaded when running the bootstrap
|
||||
script. By default both static libraries and shared libraries will be
|
||||
downloaded and the final size should be between 800MB and 2GB according to the
|
||||
platform.
|
||||
모든 사전 빌드 된 Chromium 바이너리들은 부트스트랩 스크립트가 실행될 때 다운로드됩니다.
|
||||
기본적으로 공유 라이브러리와 정적 라이브러리 모두 다운로드되며 최종 전체 파일 크기는 플랫폼에 따라 800MB에서 2GB까지 차지합니다.
|
||||
|
||||
If you only want to build Electron quickly for testing or development, you
|
||||
can only download the shared library versions by passing the `--dev` parameter:
|
||||
만약 빠르게 Electron의 개발 또는 테스트만 하고 싶다면 `--dev` 플래그를 추가하여 공유 라이브러리만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
|
||||
```bash
|
||||
$ ./script/bootstrap.py --dev
|
||||
$ ./script/build.py -c D
|
||||
```
|
||||
|
||||
## Two-phrase 프로젝트 생성
|
||||
## 프로젝트 생성 (two-phrase)
|
||||
|
||||
Electron links with different sets of libraries in `Release` and `Debug`
|
||||
builds, however `gyp` doesn't support configuring different link settings for
|
||||
different configurations.
|
||||
Electron은 `Release`와 `Debug` 빌드가 서로 다른 라이브러리 링크 방식을 사용합니다.
|
||||
그러나 `gyp`는 따로 빌드 설정을 분리하여 라이브러리 링크 방식을 정의하는 것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
|
||||
To work around this Electron uses a `gyp` variable
|
||||
`libchromiumcontent_component` to control which link settings to use, and only
|
||||
generates one target when running `gyp`.
|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lectron은 링크 설정을 제어하는 `gyp` 변수 `libchromiumcontent_component`를 사용하고 `gyp`를 실행할 때 단 하나의 타겟만을 생성합니다.
|
||||
|
||||
## 타겟 이름
|
||||
|
||||
Unlike most projects that use `Release` and `Debug` as target names, Electron
|
||||
uses `R` and `D` instead. This is because `gyp` randomly crashes if there is
|
||||
only one `Release` or `Debug` build configuration is defined, and Electron has
|
||||
to only generate one target for one time as stated above.
|
||||
많은 프로젝트에서 타겟 이름을 `Release` 와 `Debug`를 사용하는데 반해 Electron은 `R`과 `D`를 대신 사용합니다.
|
||||
이유는 가끔 알 수 없는 이유(randomly)로 `Release` 와 `Debug` 중 하나만 빌드 설정에 정의되어 있을때 `gyp`가 크래시를 일으키는데
|
||||
전술한 바와 같이 Electron은 한번에 한개의 타겟만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
|
||||
This only affects developers, if you are only building Electron for rebranding
|
||||
you are not affected.
|
||||
이 문제는 개발자에게만 영향을 미칩니다. 만약 단순히 Electron을 rebranding 하기 위해 빌드 한다면 이 문제에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
||||
|
|
Loading…
Add table
Add a link
Reference in a new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