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x typos, add more files

This commit is contained in:
Plusb Preco 2015-06-26 02:32:51 +09:00
parent bf5b084945
commit ebb031dafe
45 changed files with 3450 additions and 239 deletions

View file

@ -1,49 +1,34 @@
# NW.js와 기술적으로 다른점 (이전 node-webkit)
# NW.js와 기술적으로 다른점 (이전 node-webkit)
__알림: Electron은 이전까지 Atom Shell로 불려졌습니다.__
Like NW.js, Electron provides a platform to write desktop applications
with JavaScript and HTML and has Node integration to grant access to low level
system in web pages.
NW.js 처럼 Electron은 JavaScript와 HTML 그리고 Node 통합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웹 페이지에서 저수준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웹 기반 데스크탑 어플리케이션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But there are also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rojects that make
Electron a completely separate product from NW.js:
하지만 Electron과 NW.js는 근본적인 개발흐름의 차이도 있습니다:
__1. 어플리케이션의 엔트리 포인트__
In NW.js, the main entry of an application is a web page. You specify a
main page in the `package.json` and it is opened in a browser window as
the application's main window.
NW.js에선 어플리케이션의 엔트리 포인트로 웹 페이지를 사용합니다.
`package.json`내의 main 필드에 메인 웹 페이지(index.html) 파일을 지정하면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윈도우로 열리게 됩니다.
In Electron, the entry point is a JavaScript script. Instead of
providing a URL directly, you manually create a browser window and load
an HTML file using the API. You also need to listen to window events
to decide when to quit the application.
Electron에선 JavaScript를 엔트리 포인트로 사용합니다. URL을 직접 제공하는 대신 API를 사용하여 직접 브라우저 창과 HTML 파일을 로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윈도우의 종료시기를 결정하는 이벤트를 리스닝해야합니다.
Electron works more like the Node.js runtime. Electron's APIs are lower level
so you can use it for browser testing in place of [PhantomJS](http://phantomjs.org/).
Electron은 Node.js 런타임과 비슷하게 작동합니다. Electron의 API는 저수준이기에 브라우저 테스팅을 위해 [PhantomJS](http://phantomjs.org/)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__2. 빌드 시스템__
In order to avoid the complexity of building the whole Chromium, Electron uses
[libchromiumcontent](https://github.com/brightray/libchromiumcontent) to access
Chromium's Content API. libchromiumcontent is a single, shared library that
includes the Chromium Content module and all its dependencies. Users don't
need a powerful machine to build Electron.
Electron은 Chromium의 모든것을 빌드하는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libchromiumcontent](https://github.com/brightray/libchromiumcontent)를 사용하여
Chromium의 Content API에 접근합니다. libchromiumcontent은 단일 공유 라이브러리이고 Chromium Content 모듈과 종속성 라이브러리들을 포함합니다.
유저는 Electron을 빌드 하기 위해 높은 사양의 빌드용 컴퓨터를 구비할 필요가 없습니다.
__3. Node 통합__
In NW.js, the Node integration in web pages requires patching Chromium to
work, while in Electron we chose a different way to integrate libuv loop with
each platform's message loop to avoid hacking Chromium. See the
[`node_bindings`](../../atom/common/) code for how that was done.
NW.js는 웹 페이지에서 require를 사용할 수 있도록 Chromium을 패치했습니다. 한편 Electron은 Chromium의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libuv loop와 각 플랫폼의 메시지 루프에 통합하는 등의 다른 방법을 채택하였습니다.
[`node_bindings`](../../atom/common/) 코드를 보면 이 부분이 어떻게 구현됬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__4. 다중 컨텍스트__
If you are an experienced NW.js user, you should be familiar with the
concept of Node context and web context. These concepts were invented because
of how NW.js was implemented.
만약 NW.js를 사용해본적이 있다면 Node context와 Web context의 개념을 잘 알고 있을겁니다. 이 개념은 NW.js가 구현된 방식에 따라 만들어졌습니다.
By using the [multi-context](http://strongloop.com/strongblog/whats-new-node-js-v0-12-multiple-context-execution/)
feature of Node, Electron doesn't introduce a new JavaScript context in web
pages.
Node의 [다중 컨텍스트](http://strongloop.com/strongblog/whats-new-node-js-v0-12-multiple-context-execution/)를 사용할 경우 Electron은 웹 페이지에서 새로운 JavaScript 컨텍스트를 생성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