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pdate Korean docs as upstream
[ci skip]
This commit is contained in:
parent
ad4450ec88
commit
897d376978
8 changed files with 124 additions and 26 deletions
|
@ -20,6 +20,7 @@ Electron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이 있습니다. 이슈를 생성하기
|
||||||
## 개발 가이드
|
## 개발 가이드
|
||||||
|
|
||||||
* [지원하는 플랫폼](tutorial/supported-platforms.md)
|
* [지원하는 플랫폼](tutorial/supported-platforms.md)
|
||||||
|
* [보안](tutorial/security.md)
|
||||||
* [어플리케이션 배포](tutorial/application-distribution.md)
|
* [어플리케이션 배포](tutorial/application-distribution.md)
|
||||||
* [Mac 앱스토어 어플리케이션 제출 가이드](tutorial/mac-app-store-submission-guide.md)
|
* [Mac 앱스토어 어플리케이션 제출 가이드](tutorial/mac-app-store-submission-guide.md)
|
||||||
* [어플리케이션 패키징](tutorial/application-packaging.md)
|
* [어플리케이션 패키징](tutorial/application-packaging.md)
|
||||||
|
|
|
@ -114,8 +114,26 @@ Returns:
|
||||||
* `event` Event
|
* `event` Event
|
||||||
* `hasVisibleWindows` Boolean
|
* `hasVisibleWindows` Boolean
|
||||||
|
|
||||||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되었을 때 발생하는 이벤트 입니다.
|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되었을 때 발생하는 이벤트 입니다. 이 이벤트는 사용자가
|
||||||
이 이벤트는 어플리케이션의 dock 아이콘을 클릭했을 때 주로 발생합니다.
|
어플리케이션의 dock 아이콘을 클릭했을 때 주로 발생합니다.
|
||||||
|
|
||||||
|
### Event: 'continue-activity' _OS X_
|
||||||
|
|
||||||
|
Returns:
|
||||||
|
|
||||||
|
* `event` Event
|
||||||
|
* `type` String - Activity를 식별하는 문자열.
|
||||||
|
[`NSUserActivity.activityType`][activity-type]을 맵핑합니다.
|
||||||
|
* `userInfo` Object - 다른 기기의 activity에서 저장된 앱-특정 상태를 포함합니다.
|
||||||
|
|
||||||
|
다른 기기에서 받아온 activity를 재개하려고 할 때 [Handoff][handoff] 하는 동안
|
||||||
|
발생하는 이벤트입니다. 이 이벤트를 처리하려면 반드시 `event.preventDefault()`를
|
||||||
|
호출해야 합니다.
|
||||||
|
|
||||||
|
사용자 activity는 activity의 소스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개발자 팀 ID를 가지는
|
||||||
|
어플리케이션 안에서만 재개될 수 있고, activity의 타입을 지원합니다. 지원하는
|
||||||
|
activity의 타입은 어플리케이션 `Info.plist`의 `NSUserActivityTypes` 키에 열거되어
|
||||||
|
있습니다.
|
||||||
|
|
||||||
### Event: 'browser-window-blur'
|
### Event: 'browser-window-blur'
|
||||||
|
|
||||||
|
@ -383,15 +401,13 @@ npm 모듈 규칙에 따라 대부분의 경우 `package.json`의 `name` 필드
|
||||||
|
|
||||||
이 API는 내부적으로 Windows 레지스트리와 LSSetDefaultHandlerForURLScheme를 사용합니다.
|
이 API는 내부적으로 Windows 레지스트리와 LSSetDefaultHandlerForURLScheme를 사용합니다.
|
||||||
|
|
||||||
### `app.removeAsDefaultProtocolClient(protocol)` _Windows_
|
### `app.removeAsDefaultProtocolClient(protocol)` _OS X_ _Windows_
|
||||||
|
|
||||||
* `protocol` String - 프로토콜의 이름, `://` 제외.
|
* `protocol` String - 프로토콜의 이름, `://` 제외.
|
||||||
|
|
||||||
이 메서드는 현재 실행파일이 지정한 프로토콜(URI scheme)에 대해 기본 핸들러인지를
|
이 메서드는 현재 실행파일이 지정한 프로토콜(URI scheme)에 대해 기본 핸들러인지를
|
||||||
확인합니다. 만약 그렇다면, 이 메서드는 앱을 기본 핸들러에서 제거합니다.
|
확인합니다. 만약 그렇다면, 이 메서드는 앱을 기본 핸들러에서 제거합니다.
|
||||||
|
|
||||||
**참고:** OS X에서는 앱을 제거하면 자동으로 기본 프로토콜 핸들러에서 제거됩니다.
|
|
||||||
|
|
||||||
### `app.isDefaultProtocolClient(protocol)` _OS X_ _Windows_
|
### `app.isDefaultProtocolClient(protocol)` _OS X_ _Windows_
|
||||||
|
|
||||||
* `protocol` String - `://`를 제외한 프로토콜의 이름.
|
* `protocol` String - `://`를 제외한 프로토콜의 이름.
|
||||||
|
@ -418,7 +434,7 @@ Windows에서 사용할 수 있는 JumpList의 [Tasks][tasks] 카테고리에 `t
|
||||||
`Task` Object:
|
`Task` Object:
|
||||||
* `program` String - 실행할 프로그램의 경로.
|
* `program` String - 실행할 프로그램의 경로.
|
||||||
보통 현재 작동중인 어플리케이션의 경로인 `process.execPath`를 지정합니다.
|
보통 현재 작동중인 어플리케이션의 경로인 `process.execPath`를 지정합니다.
|
||||||
* `arguments` String - `program`이 실행될 때 사용될 명령줄 인자.
|
* `arguments` String - `program`이 실행될 때 사용될 명령줄 인수.
|
||||||
* `title` String - JumpList에 표시할 문자열.
|
* `title` String - JumpList에 표시할 문자열.
|
||||||
* `description` String - 이 작업에 대한 설명.
|
* `description` String - 이 작업에 대한 설명.
|
||||||
* `iconPath` String - JumpList에 표시될 아이콘의 절대 경로.
|
* `iconPath` String - JumpList에 표시될 아이콘의 절대 경로.
|
||||||
|
@ -491,6 +507,19 @@ app.on('ready', function() {
|
||||||
});
|
});
|
||||||
```
|
```
|
||||||
|
|
||||||
|
### `app.setUserActivity(type, userInfo)` _OS X_
|
||||||
|
|
||||||
|
* `type` String - 고유하게 activity를 식별합니다.
|
||||||
|
[`NSUserActivity.activityType`][activity-type]을 맵핑합니다.
|
||||||
|
* `userInfo` Object - 다른 기기에서 사용하기 위해 저장할 앱-특정 상태.
|
||||||
|
|
||||||
|
`NSUserActivity`를 만들고 현재 activity에 설정합니다. 이 activity는 이후 다른 기기와
|
||||||
|
[Handoff][handoff]할 때 자격으로 사용됩니다.
|
||||||
|
|
||||||
|
### `app.getCurrentActivityType()` _OS X_
|
||||||
|
|
||||||
|
현재 작동중인 activity의 타입을 반환합니다.
|
||||||
|
|
||||||
### `app.setAppUserModelId(id)` _Windows_
|
### `app.setAppUserModelId(id)` _Windows_
|
||||||
|
|
||||||
* `id` String
|
* `id` String
|
||||||
|
@ -577,3 +606,5 @@ dock 아이콘의 `image`를 설정합니다.
|
||||||
[app-user-model-id]: https://msdn.microsoft.com/en-us/library/windows/desktop/dd378459(v=vs.85).aspx
|
[app-user-model-id]: https://msdn.microsoft.com/en-us/library/windows/desktop/dd378459(v=vs.85).aspx
|
||||||
[CFBundleURLTypes]: https://developer.apple.com/library/ios/documentation/General/Reference/InfoPlistKeyReference/Articles/CoreFoundationKeys.html#//apple_ref/doc/uid/TP40009249-102207-TPXREF115
|
[CFBundleURLTypes]: https://developer.apple.com/library/ios/documentation/General/Reference/InfoPlistKeyReference/Articles/CoreFoundationKeys.html#//apple_ref/doc/uid/TP40009249-102207-TPXREF115
|
||||||
[LSCopyDefaultHandlerForURLScheme]: https://developer.apple.com/library/mac/documentation/Carbon/Reference/LaunchServicesReference/#//apple_ref/c/func/LSCopyDefaultHandlerForURLScheme
|
[LSCopyDefaultHandlerForURLScheme]: https://developer.apple.com/library/mac/documentation/Carbon/Reference/LaunchServicesReference/#//apple_ref/c/func/LSCopyDefaultHandlerForURLScheme
|
||||||
|
[handoff]: https://developer.apple.com/library/ios/documentation/UserExperience/Conceptual/Handoff/HandoffFundamentals/HandoffFundamentals.html
|
||||||
|
[activity-type]: https://developer.apple.com/library/ios/documentation/Foundation/Reference/NSUserActivity_Class/index.html#//apple_ref/occ/instp/NSUserActivity/activityType
|
||||||
|
|
|
@ -97,6 +97,10 @@ win.show();
|
||||||
* `webPreferences` Object - 웹 페이지 기능을 설정합니다. 사용할 수 있는 속성은
|
* `webPreferences` Object - 웹 페이지 기능을 설정합니다. 사용할 수 있는 속성은
|
||||||
아래를 참고하세요.
|
아래를 참고하세요.
|
||||||
|
|
||||||
|
`minWidth`/`maxWidth`/`minHeight`/`maxHeight`를 통해 최소 또는 최대 윈도우 크기를
|
||||||
|
지정한 경우, 이는 사용자만을 제약하며, `setBounds`/`setSize` 또는 `BrowserWindow`의
|
||||||
|
생성자에서 크기 제약을 따르지 않는 윈도우 크기를 전달하는 것은 막을 수 없습니다.
|
||||||
|
|
||||||
`type` 속성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값과 동작은 다음과 같으며, 플랫폼에 따라 다릅니다:
|
`type` 속성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값과 동작은 다음과 같으며, 플랫폼에 따라 다릅니다:
|
||||||
|
|
||||||
* Linux의 경우, `desktop`, `dock`, `toolbar`, `splash`, `notification` 종류를
|
* Linux의 경우, `desktop`, `dock`, `toolbar`, `splash`, `notification` 종류를
|
||||||
|
@ -161,6 +165,8 @@ win.show();
|
||||||
활성화합니다. 기본값은 `false`입니다.
|
활성화합니다. 기본값은 `false`입니다.
|
||||||
* `directWrite` Boolean - Windows에서 폰트 렌더링을 위해 DirectWrite를
|
* `directWrite` Boolean - Windows에서 폰트 렌더링을 위해 DirectWrite를
|
||||||
사용하는지를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true`입니다.
|
사용하는지를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true`입니다.
|
||||||
|
* `scrollBounce` Boolean - OS X에서 스크롤 튕기기 효과 (탄성 밴딩)를 활성화 합니다.
|
||||||
|
기본값은 `false`입니다.
|
||||||
* `blinkFeatures` String - `CSSVariables,KeyboardEventKey`같은 `,`로 구분된
|
* `blinkFeatures` String - `CSSVariables,KeyboardEventKey`같은 `,`로 구분된
|
||||||
기능 문자열들의 리스트입니다. 지원하는 전체 기능 문자열들은
|
기능 문자열들의 리스트입니다. 지원하는 전체 기능 문자열들은
|
||||||
[setFeatureEnabledFromString][blink-feature-string] 함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
[setFeatureEnabledFromString][blink-feature-string] 함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
||||||
|
|
|
@ -13,6 +13,9 @@ Electron의 `process` 객체는 기존의 node와는 달리 약간의 차이점
|
||||||
빌드일 땐 `undefined`로 지정됩니다.
|
빌드일 땐 `undefined`로 지정됩니다.
|
||||||
* `process.windowsStore` Boolean - 만약 앱이 Windows Store 앱 (appx)으로 작동하고
|
* `process.windowsStore` Boolean - 만약 앱이 Windows Store 앱 (appx)으로 작동하고
|
||||||
있다면, 이 값이 `true`로 지정되며 다른 빌드인 경우엔 `undefined`로 지정됩니다.
|
있다면, 이 값이 `true`로 지정되며 다른 빌드인 경우엔 `undefined`로 지정됩니다.
|
||||||
|
* `process.defaultApp` Boolean - 어플리케이션이 기본 어플리케이션 형식으로 전달되는
|
||||||
|
인수와 함께 실행됐을 때, 메인 프로세스에서 이 값이 `true`가 되며 다른 경우엔
|
||||||
|
`undefined`가 됩니다.
|
||||||
|
|
||||||
## Events
|
## Events
|
||||||
|
|
||||||
|
|
|
@ -6,11 +6,10 @@
|
||||||
|
|
||||||
```javascript
|
```javascript
|
||||||
const electron = require('electron');
|
const electron = require('electron');
|
||||||
const app = electron.app;
|
const { app, protocol } = electron;
|
||||||
const path = require('path');
|
const path = require('path');
|
||||||
|
|
||||||
app.on('ready', function() {
|
app.on('ready', function() {
|
||||||
var protocol = electron.protocol;
|
|
||||||
protocol.registerFileProtocol('atom', function(request, callback) {
|
protocol.registerFileProtocol('atom', function(request, callback) {
|
||||||
var url = request.url.substr(7);
|
var url = request.url.substr(7);
|
||||||
callback({path: path.normalize(__dirname + '/' + url)});
|
callback({path: path.normalize(__dirname + '/' + url)});
|
||||||
|
@ -21,7 +20,8 @@ app.on('ready', function() {
|
||||||
});
|
});
|
||||||
```
|
```
|
||||||
|
|
||||||
**참고:** 이 모듈은 `app` 모듈의 `ready`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참고:** 모든 메서드는 따로 표기하지 않는 한 `app` 모듈의 `ready` 이벤트가 발생한
|
||||||
|
이후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
||||||
## Methods
|
## Methods
|
||||||
|
|
||||||
|
@ -32,11 +32,16 @@ app.on('ready', function() {
|
||||||
* `schemes` Array - 표준 스킴으로 등록할 커스텀 스킴 리스트
|
* `schemes` Array - 표준 스킴으로 등록할 커스텀 스킴 리스트
|
||||||
|
|
||||||
표준 `scheme`의 형식은 RFC 3986 [일반 URI 구문](https://tools.ietf.org/html/rfc3986#section-3)
|
표준 `scheme`의 형식은 RFC 3986 [일반 URI 구문](https://tools.ietf.org/html/rfc3986#section-3)
|
||||||
표준을 따릅니다. 이 형식은 `file:`과 `filesystem:`을 포함합니다.
|
표준을 따릅니다. 이 형식은 `file:`, `filesystem:`, `http` 등을 포함합니다. 스킴을
|
||||||
|
표준을 따라 등록하면, 스킴이 제공될 때 상대, 절대 경로의 리소스를 올바르게 취할 수
|
||||||
|
있습니다.
|
||||||
|
|
||||||
|
**참고:** 이 메서드는 `app` 모듈의 `ready` 이벤트가 발생하기 이전에만 사용할 수
|
||||||
|
있습니다.
|
||||||
|
|
||||||
### `protocol.registerServiceWorkerSchemes(schemes)`
|
### `protocol.registerServiceWorkerSchemes(schemes)`
|
||||||
|
|
||||||
* `schemes` Array - 등록될 서비스 워커를 조작할 커스텀 스키마
|
* `schemes` Array - 서비스 워커를 제어하기 위해 등록될 커스텀 스킴.
|
||||||
|
|
||||||
### `protocol.registerFileProtocol(scheme, handler[, completion])`
|
### `protocol.registerFileProtocol(scheme, handler[, completion])`
|
||||||
|
|
||||||
|
|
|
@ -38,7 +38,8 @@ Returns:
|
||||||
이 이벤트는 `did-finish-load`와 비슷하나, 로드가 실패했거나 취소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
이 이벤트는 `did-finish-load`와 비슷하나, 로드가 실패했거나 취소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
||||||
예를 들면 `window.stop()`이 실행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발생할 수 있는 전체 에러 코드의
|
예를 들면 `window.stop()`이 실행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발생할 수 있는 전체 에러 코드의
|
||||||
목록과 설명은 [여기](https://code.google.com/p/chromium/codesearch#chromium/src/net/base/net_error_list.h)서
|
목록과 설명은 [여기](https://code.google.com/p/chromium/codesearch#chromium/src/net/base/net_error_list.h)서
|
||||||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리다이렉트 응답은 `errorCode` -3과 함께 발생합니다; 이
|
||||||
|
에러는 명시적으로 무시할 수 있습니다.
|
||||||
|
|
||||||
### Event: 'did-frame-finish-load'
|
### Event: 'did-frame-finish-load'
|
||||||
|
|
||||||
|
@ -292,7 +293,7 @@ Returns:
|
||||||
* `image` NativeImage (optional)
|
* `image` NativeImage (optional)
|
||||||
* `scale` Float (optional)
|
* `scale` Float (optional)
|
||||||
|
|
||||||
커서 타입이 변경될 때 발생하는 이벤트입니다. `type` 매개변수는 다음 값이 될 수 있습니다:
|
커서 타입이 변경될 때 발생하는 이벤트입니다. `type` 인수는 다음 값이 될 수 있습니다:
|
||||||
`default`, `crosshair`, `pointer`, `text`, `wait`, `help`, `e-resize`, `n-resize`,
|
`default`, `crosshair`, `pointer`, `text`, `wait`, `help`, `e-resize`, `n-resize`,
|
||||||
`ne-resize`, `nw-resize`, `s-resize`, `se-resize`, `sw-resize`, `w-resize`,
|
`ne-resize`, `nw-resize`, `s-resize`, `se-resize`, `sw-resize`, `w-resize`,
|
||||||
`ns-resize`, `ew-resize`, `nesw-resize`, `nwse-resize`, `col-resize`,
|
`ns-resize`, `ew-resize`, `nesw-resize`, `nwse-resize`, `col-resize`,
|
||||||
|
@ -301,10 +302,59 @@ Returns:
|
||||||
`cell`, `context-menu`, `alias`, `progress`, `nodrop`, `copy`, `none`,
|
`cell`, `context-menu`, `alias`, `progress`, `nodrop`, `copy`, `none`,
|
||||||
`not-allowed`, `zoom-in`, `zoom-out`, `grab`, `grabbing`, `custom`.
|
`not-allowed`, `zoom-in`, `zoom-out`, `grab`, `grabbing`, `custom`.
|
||||||
|
|
||||||
만약 `type` 매개변수가 `custom` 이고 `image` 매개변수가 `NativeImage`를 통한 커스텀
|
만약 `type` 인수가 `custom` 이고 `image` 인수가 `NativeImage`를 통한 커스텀
|
||||||
커서를 지정했을 때, 해당 이미지로 커서가 변경됩니다. 또한 `scale` 매개변수는 이미지의
|
커서를 지정했을 때, 해당 이미지로 커서가 변경됩니다. 또한 `scale` 인수는 이미지의
|
||||||
크기를 조정합니다.
|
크기를 조정합니다.
|
||||||
|
|
||||||
|
### Event: 'context-menu'
|
||||||
|
|
||||||
|
Returns:
|
||||||
|
|
||||||
|
* `event` Event
|
||||||
|
* `params` Object
|
||||||
|
* `x` Integer - x 좌표
|
||||||
|
* `y` Integer - y 좌표
|
||||||
|
* `linkURL` String - 컨텍스트 메뉴가 호출된 노드를 둘러싸는 링크의 URL.
|
||||||
|
* `linkText` String - 링크에 연관된 텍스트. 콘텐츠의 링크가 이미지인 경우 빈
|
||||||
|
문자열이 됩니다.
|
||||||
|
* `pageURL` String - 컨텍스트 메뉴가 호출된 상위 수준 페이지의 URL.
|
||||||
|
* `frameURL` String - 컨텍스트 메뉴가 호출된 서브 프레임의 URL.
|
||||||
|
* `srcURL` String - 컨텍스트 메뉴가 호출된 요소에 대한 소스 URL. 요소와 소스 URL은
|
||||||
|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입니다.
|
||||||
|
* `mediaType` String - 컨텍스트 메뉴가 호출된 노드의 타입. 값은 `none`, `image`,
|
||||||
|
`audio`, `video`, `canvas`, `file` 또는 `plugin`이 될 수 있습니다.
|
||||||
|
* `mediaFlags` Object - 컨텍스트 메뉴가 호출된 미디어 요소에 대한 인수들.
|
||||||
|
* `inError` - Boolean
|
||||||
|
* `isPaused` - Boolean
|
||||||
|
* `isMuted` - Boolean
|
||||||
|
* `hasAudio` - Boolean
|
||||||
|
* `isLooping` - Boolean
|
||||||
|
* `isControlsVisible` - Boolean
|
||||||
|
* `canToggleControls` - Boolean
|
||||||
|
* `canRotate` - Boolean
|
||||||
|
* `hasImageContent` Boolean - 컨텍스트 메뉴가 내용이 있는 이미지에서 호출되었는지
|
||||||
|
여부.
|
||||||
|
* `isEditable` Boolean - 컨텍스트를 편집할 수 있는지 여부.
|
||||||
|
* `editFlags` Object - 이 플래그는 랜더러가 다음 행동을 취할 수 있는지 여부를
|
||||||
|
표시합니다.
|
||||||
|
* `canUndo` - Boolean
|
||||||
|
* `canRedo` - Boolean
|
||||||
|
* `canCut` - Boolean
|
||||||
|
* `canCopy` - Boolean
|
||||||
|
* `canPaste` - Boolean
|
||||||
|
* `canDelete` - Boolean
|
||||||
|
* `canSelectAll` - Boolean
|
||||||
|
* `selectionText` String - 컨텍스트 메뉴가 호출된 부분에 있는 선택된 텍스트.
|
||||||
|
* `titleText` String - 컨텍스트 메뉴가 호출된 선택된 제목 또는 알림 텍스트.
|
||||||
|
* `misspelledWord` String - 만약 있는 경우, 커서가 가르키는 곳에서 발생한 오타.
|
||||||
|
* `frameCharset` String - 메뉴가 호출된 프레임의 문자열 인코딩.
|
||||||
|
* `inputFieldType` String - 컨텍스트 메뉴가 입력 필드에서 호출되었을 때, 그 필드의
|
||||||
|
타입. 값은 `none`, `plainText`, `password`, `other` 중 한 가지가 될 수 있습니다.
|
||||||
|
* `menuSourceType` String - 컨텍스트 메뉴를 호출한 입력 소스. 값은 `none`,
|
||||||
|
`mouse`, `keyboard`, `touch`, `touchMenu` 중 한 가지가 될 수 있습니다.
|
||||||
|
|
||||||
|
새로운 컨텍스트 메뉴의 제어가 필요할 때 발생하는 이벤트입니다.
|
||||||
|
|
||||||
## Instance Methods
|
## Instance Methods
|
||||||
|
|
||||||
`webContents`객체는 다음과 같은 인스턴스 메서드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
`webContents`객체는 다음과 같은 인스턴스 메서드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
||||||
|
@ -576,7 +626,7 @@ print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전체 바이너리 크기를 줄이
|
||||||
### `webContents.printToPDF(options, callback)`
|
### `webContents.printToPDF(options, callback)`
|
||||||
|
|
||||||
* `options` Object
|
* `options` Object
|
||||||
* `marginsType` Integer - 사용할 마진의 종류를 지정합니다. 0 부터 2 사이 값을 사용할
|
* `marginsType` Integer - 사용할 마진의 타입을 지정합니다. 0 부터 2 사이 값을 사용할
|
||||||
수 있고 각각 기본 마진, 마진 없음, 최소 마진입니다.
|
수 있고 각각 기본 마진, 마진 없음, 최소 마진입니다.
|
||||||
* `pageSize` String - 생성되는 PDF의 페이지 크기를 지정합니다. 값은 `A3`, `A4`,
|
* `pageSize` String - 생성되는 PDF의 페이지 크기를 지정합니다. 값은 `A3`, `A4`,
|
||||||
`A5`, `Legal`, `Letter` 와 `Tabloid`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
`A5`, `Legal`, `Letter` 와 `Tabloid`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
||||||
|
@ -898,7 +948,7 @@ win.webContents.debugger.sendCommand("Network.enable");
|
||||||
|
|
||||||
* `method` String - 메서드 이름, 반드시 원격 디버깅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메서드중
|
* `method` String - 메서드 이름, 반드시 원격 디버깅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메서드중
|
||||||
하나가 됩니다.
|
하나가 됩니다.
|
||||||
* `commandParams` Object (optional) - 요청 매개변수를 표현한 JSON 객체.
|
* `commandParams` Object (optional) - 요청 인수를 표현한 JSON 객체.
|
||||||
* `callback` Function (optional) - 응답
|
* `callback` Function (optional) - 응답
|
||||||
* `error` Object - 커맨드의 실패를 표시하는 에러 메시지.
|
* `error` Object - 커맨드의 실패를 표시하는 에러 메시지.
|
||||||
* `result` Object - 원격 디버깅 프로토콜에서 커맨드 설명의 'returns' 속성에 의해
|
* `result` Object - 원격 디버깅 프로토콜에서 커맨드 설명의 'returns' 속성에 의해
|
||||||
|
@ -918,8 +968,7 @@ win.webContents.debugger.sendCommand("Network.enable");
|
||||||
|
|
||||||
* `event` Event
|
* `event` Event
|
||||||
* `method` String - 메서드 이름.
|
* `method` String - 메서드 이름.
|
||||||
* `params` Object - 원격 디버깅 프로토콜의 'parameters' 속성에서 정의된 이벤트
|
* `params` Object - 원격 디버깅 프로토콜의 'parameters' 속성에서 정의된 이벤트 인수
|
||||||
매개변수
|
|
||||||
|
|
||||||
디버깅 타겟이 관련 이벤트를 발생시킬 때 마다 발생하는 이벤트입니다.
|
디버깅 타겟이 관련 이벤트를 발생시킬 때 마다 발생하는 이벤트입니다.
|
||||||
|
|
||||||
|
|
|
@ -3,16 +3,19 @@
|
||||||
## 언제 Electron이 최신 버전의 Chrome으로 업그레이드 되나요?
|
## 언제 Electron이 최신 버전의 Chrome으로 업그레이드 되나요?
|
||||||
|
|
||||||
Electron의 Chrome 버전은 보통 새로운 Chrome 안정 버전이 릴리즈 된 이후 1주 내지 2주
|
Electron의 Chrome 버전은 보통 새로운 Chrome 안정 버전이 릴리즈 된 이후 1주 내지 2주
|
||||||
내로 업데이트됩니다.
|
내로 업데이트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업데이트 주기는 보장되지 않으며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
||||||
|
작업의 양에 따라 달라집니다.
|
||||||
|
|
||||||
또한 우리는 크롬의 안정된 채널만을 이용합니다, 만약 중요한 수정이 베타 또는 개발 채널인
|
Electron은 크롬이 사용하는 안정된 채널만을 이용합니다, 만약 중요한 수정이 베타 또는
|
||||||
경우, 우리는 해당 버전 대신 이전 버전을 다시 사용합니다.
|
개발 채널에 패치된 경우, 이전 버전의 채널로 롤백합니다.
|
||||||
|
|
||||||
|
자세한 내용은 [보안 설명](../tutorial/electron-security.md)을 참고하세요.
|
||||||
|
|
||||||
## Electron은 언제 최신 버전의 Node.js로 업그레이드 하나요?
|
## Electron은 언제 최신 버전의 Node.js로 업그레이드 하나요?
|
||||||
|
|
||||||
새로운 버전의 Node.js가 릴리즈 되면, 우리는 보통 Electron을 업그레이드 하기 전에 한
|
새로운 버전의 Node.js가 릴리즈 되면, 보통 Electron을 업그레이드 하기 전에 한 달 정도
|
||||||
달 정도 대기합니다. 이렇게 하면 새로운 Node.js 버전을 업데이트 함으로써 발생하는
|
대기합니다. 이렇게 하면 새로운 Node.js 버전을 업데이트 함으로써 발생하는 버그들을
|
||||||
버그들을 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자주 발생합니다.
|
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자주 발생합니다.
|
||||||
|
|
||||||
Node.js의 새로운 기능은 보통 V8 업그레이드에서 가져옵니다. Electron은 Chrome
|
Node.js의 새로운 기능은 보통 V8 업그레이드에서 가져옵니다. Electron은 Chrome
|
||||||
브라우저에 탑재된 V8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눈부신 새로운 Node.js 버전의 자바스크립트
|
브라우저에 탑재된 V8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눈부신 새로운 Node.js 버전의 자바스크립트
|
||||||
|
|
|
@ -92,7 +92,7 @@ Returns:
|
||||||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
||||||
```javascript
|
```javascript
|
||||||
Alarm.on('wake-up', function(time) {
|
Alarm.on('wake-up', (time) => {
|
||||||
console.log(time)
|
console.log(time)
|
||||||
})
|
})
|
||||||
```
|
```
|
||||||
|
|
Loading…
Add table
Add a link
Reference in a new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