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4b02a8ead093ba27ec390177a2299f038ef3a657 Mon Sep 17 00:00:00 2001 From: Plusb Preco Date: Fri, 22 Jan 2016 02:39:37 +0900 Subject: [PATCH] :memo: Update as upstream [ci skip] --- docs-translations/ko-KR/api/app.md | 32 ++++++++++++++++++- docs-translations/ko-KR/api/browser-window.md | 27 +++++++++------- .../ko-KR/api/frameless-window.md | 4 +-- docs-translations/ko-KR/api/ipc-main.md | 29 ++++++++++++++--- docs-translations/ko-KR/api/ipc-renderer.md | 25 +++++++++++++-- docs-translations/ko-KR/api/session.md | 7 ++++ docs-translations/ko-KR/api/synopsis.md | 1 - .../ko-KR/tutorial/debugging-main-process.md | 4 +-- 8 files changed, 106 insertions(+), 23 deletions(-) diff --git a/docs-translations/ko-KR/api/app.md b/docs-translations/ko-KR/api/app.md index 503864d04201..83921b3e39e3 100644 --- a/docs-translations/ko-KR/api/app.md +++ b/docs-translations/ko-KR/api/app.md @@ -422,7 +422,7 @@ if (shouldQuit) { return; } -// 윈도우 창을 생성하고 각종 리소스를 로드하고 작업합니다.. +// 윈도우 창을 생성하고 각종 리소스를 로드하고 작업합니다. app.on('ready', function() { }); ``` @@ -433,6 +433,36 @@ app.on('ready', function() { [Application User Model ID][app-user-model-id]를 `id`로 변경합니다. +### `app.isAeroGlassEnabled()` _Windows_ + +이 메서드는 [DWM 컴포지션](https://msdn.microsoft.com/en-us/library/windows/desktop/aa969540.aspx) +(Aero Glass)가 활성화 되어있을 때 `true`를 반환합니다. 아닌 경우 `false`를 반환합니다. +이 메서드는 투명한 윈도우를 만들기 위해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투명한 윈도우는 DWM 컴포지션이 비활성화되어있을 시 작동하지 않습니다) + +사용 예시: + +```js +let browserOptions = {width: 1000, height: 800}; + +// 플랫폼이 지원하는 경우에만 투명 윈도우를 생성 +if (process.platform !== 'win32' || app.isAeroGlassEnabled()) { + browserOptions.transparent = true; + browserOptions.frame = false; +} + +// 원도우 생성 +win = new BrowserWindow(browserOptions); + +// 페이지 로드 +if (browserOptions.transparent) { + win.loadURL('file://' + __dirname + '/index.html'); +} else { + // 투명 윈도우 상태가 아니라면, 기본적인 폴백 스타일 사용 + win.loadURL('file://' + __dirname + '/fallback.html'); +} +``` + ### `app.commandLine.appendSwitch(switch[, value])` Chrominum의 명령줄에 스위치를 추가합니다. `value`는 추가적인 값을 뜻하며 옵션입니다. diff --git a/docs-translations/ko-KR/api/browser-window.md b/docs-translations/ko-KR/api/browser-window.md index 43bcd4a19cfc..e5d5fbafe438 100644 --- a/docs-translations/ko-KR/api/browser-window.md +++ b/docs-translations/ko-KR/api/browser-window.md @@ -49,6 +49,8 @@ win.show(); * `maxHeight` Integer - 윈도우 창의 최대 세로 높이. 기본값은 `제한없음`입니다. * `resizable` Boolean - 윈도우 창의 크기를 재조정 할 수 있는지 여부. 기본값은 `true` 입니다. +* `movable` Boolean - 윈도우를 이동시킬 수 있는지 여부. 이 기능은 현재 OSX에만 + 구현되어 있습니다. 기본값은 `true` * `alwaysOnTop` Boolean - 윈도우 창이 언제나 다른 창들 위에 유지되는지 여부. 기본값은 `false`입니다. * `fullscreen` Boolean - 윈도우 창의 전체화면 활성화 여부. 기본값은 `false` 입니다. @@ -354,8 +356,6 @@ var win = new BrowserWindow({ width: 800, height: 600 }); 않습니다. 또한 이 윈도우의 `close`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closed` 이벤트는 반드시 발생함을 보장합니다. -이 메서드는 렌더러 프로세스가 예기치 않게 크래시가 일어났을 경우에만 사용해야 합니다. - ### `win.close()` 윈도우의 종료를 시도합니다. 이 메서드는 사용자가 윈도우의 닫기 버튼을 클릭했을 때와 @@ -440,14 +440,16 @@ var win = new BrowserWindow({ width: 800, height: 600 }); 크기는 관여하지 않습니다. 그저 전체 컨텐츠 뷰 내에 있는 모든 엑스트라 너비, 높이 영역이 합해집니다. -### `win.setBounds(options)` +### `win.setBounds(options[, animate])` -`options` Object, properties: +* `options` Object, properties: -* `x` Integer -* `y` Integer -* `width` Integer -* `height` Integer + * `x` Integer + * `y` Integer + * `width` Integer + * `height` Integer + +* `animate` Boolean (optional) _OS X_ 윈도우를 지정한 `width`, `height`, `x`, `y`로 크기 재조정 및 이동합니다. @@ -455,10 +457,11 @@ var win = new BrowserWindow({ width: 800, height: 600 }); 윈도우의 width, height, x, y 값을 가지는 객체를 반환합니다. -### `win.setSize(width, height)` +### `win.setSize(width, height[, animate])` * `width` Integer * `height` Integer +* `animate` Boolean (optional) _OS X_ `width`와 `height` 값으로 윈도우 크기를 재조정합니다. (너비, 높이) @@ -466,10 +469,11 @@ var win = new BrowserWindow({ width: 800, height: 600 }); 윈도우의 너비, 높이값을 가지는 배열을 반환합니다. -### `win.setContentSize(width, height)` +### `win.setContentSize(width, height[, animate])` * `width` Integer * `height` Integer +* `animate` Boolean (optional) _OS X_ 윈도우 클라이언트 영역(웹 페이지)의 크기를 `width`, `height`로 재조정합니다. @@ -524,10 +528,11 @@ var win = new BrowserWindow({ width: 800, height: 600 }); 윈도우를 화면 정 중앙으로 이동합니다. -### `win.setPosition(x, y)` +### `win.setPosition(x, y[, animate])` * `x` Integer * `y` Integer +* `animate` Boolean (optional) _OS X_ 윈도우의 위치를 `x`, `y`로 이동합니다. diff --git a/docs-translations/ko-KR/api/frameless-window.md b/docs-translations/ko-KR/api/frameless-window.md index 9fa8fafc4c4f..9dbac12d5fb7 100644 --- a/docs-translations/ko-KR/api/frameless-window.md +++ b/docs-translations/ko-KR/api/frameless-window.md @@ -19,11 +19,11 @@ var win = new BrowserWindow({ width: 800, height: 600, frame: false }); OS X 10.10 Yosemite 이후의 최신 버전부터는 테두리가 없는 창을 만들 때 새로운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ame` 옵션을 `false`로 지정하여 제목과 창 구성 요소를 모두 -비활성화하는 대신 새로운 `title-bar-style` 옵션을 통해 제목만 숨기고 창 구성 요소 +비활성화하는 대신 새로운 `titleBarStyle` 옵션을 통해 제목만 숨기고 창 구성 요소 ("흔히 신호등으로 알고 있는")의 기능과 창 크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javascript -var win = new BrowserWindow({ 'title-bar-style': 'hidden' }); +var win = new BrowserWindow({ 'titleBarStyle': 'hidden' }); ``` ## 투명한 창 만들기 diff --git a/docs-translations/ko-KR/api/ipc-main.md b/docs-translations/ko-KR/api/ipc-main.md index 4714fd7aff28..3ae519d294b6 100644 --- a/docs-translations/ko-KR/api/ipc-main.md +++ b/docs-translations/ko-KR/api/ipc-main.md @@ -1,7 +1,8 @@ # ipcMain -`ipcMain` 모듈은 메인 프로세스에서 사용할 때 랜더러 프로세스(웹 페이지)에서 전달된 -동기/비동기 메시지를 주고 받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랜더러 프로세스에서 메시지를 전달하면 +`ipcMain` 모듈은 [EventEmitter](https://nodejs.org/api/events.html) 클래스의 +인스턴스입니다. 메인 프로세스에서 사용하면, 랜더러 프로세스(웹 페이지)에서 전달된 +동기, 비동기 메시지를 주고 받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랜더러 프로세스에서 메시지를 전달하면 이 모듈을 통해 메시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메시지 전송 @@ -50,9 +51,29 @@ ipcRenderer.send('asynchronous-message', 'ping'); * `channel` String - 이벤트 이름 * `callback` Function -이벤트가 발생하면 `event` 객체와 `arg` 메시지와 함께 `callback`이 호출됩니다. +이벤트가 발생하면 `event` 객체와 임의 메시지와 함께 `callback`이 호출됩니다. -## IPC 이벤트 +### `ipcMain.removeListener(channel, callback)` + +* `channel` String - 이벤트의 이름 +* `callback` Function - `ipcMain.on(channel, callback)`에서 사용한 함수의 레퍼런스 + +메시지 수신을 완료한 후, 더 이상의 콜백이 필요하지 않을 때 또는 몇 가지 이유로 채널의 +메시지 전송을 멈출수 없을 때, 이 함수를 통해 지정한 채널에 대한 콜백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 +### `ipcMain.removeAllListeners(channel)` + +* `channel` String - 이벤트의 이름 + +이 ipc 채널에 등록된 *모든* 핸들러들을 삭제합니다. + +### `ipcMain.once(channel, callback)` + +`ipcMain.on()` 대신 이 함수를 사용할 경우 핸들러가 단 한 번만 호출됩니다. +`callback`이 한 번 호출된 이후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 +## IPC Event `callback`에서 전달된 `event` 객체는 다음과 같은 메서드와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diff --git a/docs-translations/ko-KR/api/ipc-renderer.md b/docs-translations/ko-KR/api/ipc-renderer.md index 69c7936d66ea..aba632430b52 100644 --- a/docs-translations/ko-KR/api/ipc-renderer.md +++ b/docs-translations/ko-KR/api/ipc-renderer.md @@ -1,7 +1,8 @@ # ipcRenderer -`ipcRenderer` 모듈은 랜더러 프로세스에서 메인 프로세스로 동기/비동기 메시지를 주고 -받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또한 메인 프로세스로부터 받은 메시지에 응답할 수도 있습니다. +`ipcRenderer` 모듈은 [EventEmitter](https://nodejs.org/api/events.html) 클래스의 +인스턴스입니다. 랜더러 프로세스에서 메인 프로세스로 동기/비동기 메시지를 주고 받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또한 메인 프로세스로부터 받은 메시지에 응답할 수도 있습니다. [ipcMain](ipc-main.md)에서 코드 예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6,6 +17,26 @@ 이벤트가 일어나면 `event` 객체와 임의의 인자와 함께 `callback` 함수가 호출됩니다. +### `ipcMain.removeListener(channel, callback)` + +* `channel` String - 이벤트의 이름 +* `callback` Function - `ipcMain.on(channel, callback)`에서 사용한 함수의 레퍼런스 + +메시지 수신을 완료한 후, 더 이상의 콜백이 필요하지 않을 때 또는 몇 가지 이유로 채널의 +메시지 전송을 멈출수 없을 때, 이 함수를 통해 지정한 채널에 대한 콜백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 +### `ipcMain.removeAllListeners(channel)` + +* `channel` String - 이벤트의 이름 + +이 ipc 채널에 등록된 *모든* 핸들러들을 삭제합니다. + +### `ipcMain.once(channel, callback)` + +`ipcMain.on()` 대신 이 함수를 사용할 경우 핸들러가 단 한 번만 호출됩니다. +`callback`이 한 번 호출된 이후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 ## 메시지 보내기 `ipcRenderer`는 다음과 같은 메시지 전송 메서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diff --git a/docs-translations/ko-KR/api/session.md b/docs-translations/ko-KR/api/session.md index 5da0dd01276b..bf5c157ede63 100644 --- a/docs-translations/ko-KR/api/session.md +++ b/docs-translations/ko-KR/api/session.md @@ -158,6 +158,13 @@ session.defaultSession.cookies.set(cookie, function(error) { `url`과 `name`에 일치하는 쿠키를 삭제합니다. 작업이 완료되면 `callback`이 `callback()` 형식으로 호출됩니다. +#### `ses.getCacheSize(callback)` + +* `callback` Function + * `size` Integer - 바이트로 표현된 캐시 크기 + +세션의 현재 캐시 크기를 반환합니다. + #### `ses.clearCache(callback)` * `callback` Function - 작업이 완료되면 호출됩니다. diff --git a/docs-translations/ko-KR/api/synopsis.md b/docs-translations/ko-KR/api/synopsis.md index fd0791cd4a8e..e70dfbb3349f 100644 --- a/docs-translations/ko-KR/api/synopsis.md +++ b/docs-translations/ko-KR/api/synopsis.md @@ -78,6 +78,5 @@ require('electron').hideInternalModules() ``` [gui]: https://en.wikipedia.org/wiki/Graphical_user_interface -[main-process]: ../tutorial/quick-start.md#메인-프로세스 [desctructuring-assignment]: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Operators/Destructuring_assignment [issue-387]: https://github.com/atom/electron/issues/387 diff --git a/docs-translations/ko-KR/tutorial/debugging-main-process.md b/docs-translations/ko-KR/tutorial/debugging-main-process.md index bea8ce6ccc0c..0b69c0a165aa 100644 --- a/docs-translations/ko-KR/tutorial/debugging-main-process.md +++ b/docs-translations/ko-KR/tutorial/debugging-main-process.md @@ -60,13 +60,13 @@ $ electron --debug=5858 your/app $ electron --debug-brk=5858 your/app ``` -### 5. Electron을 사용하는 [node-inspector][node-inspector] 시작 +### 6. Electron을 사용하는 [node-inspector][node-inspector] 시작 ```bash $ ELECTRON_RUN_AS_NODE=true path/to/electron.exe node_modules/node-inspector/bin/inspector.js ``` -### 6. 디버거 UI 로드 +### 7. 디버거 UI 로드 Chrome 브라우저에서 http://127.0.0.1:8080/debug?ws=127.0.0.1:8080&port=5858 주소에 접속합니다. (기본 포트 또는 지정한 포트로 접속) 엔트리의 라인이 debug-brk로 시작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