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rge pull request #5108 from preco21/master
docs: Update Korean docs as upstream
This commit is contained in:
commit
41e771d011
19 changed files with 55 additions and 36 deletions
|
@ -2,8 +2,14 @@
|
|||
|
||||
이 모듈은 `Squirrel` 자동 업데이트 프레임워크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
||||
|
||||
[electron-release-server](https://github.com/ArekSredzki/electron-release-server)를
|
||||
포크하면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멀티 플랫폼 릴리즈 서버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
||||
다음 프로젝트 중 하나를 택하여 사용하면,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멀티 플랫폼
|
||||
릴리즈 서버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
||||
|
||||
- [electron-release-server][electron-release-server]: *완벽하게 모든 기능을
|
||||
지원하는 electron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자가 호스트 릴리즈 서버입니다. auto-updater와
|
||||
호환됩니다*
|
||||
- [squirrel-updates-server][squirrel-updates-server]: *GitHub 릴리즈를 사용하는
|
||||
Squirrel.Mac 와 Squirrel.Windows를 위한 간단한 node.js 기반 서버입니다*
|
||||
|
||||
## 플랫폼별 참고 사항
|
||||
|
||||
|
@ -16,6 +22,9 @@ OS X에선 `auto-updater` 모듈이 [Squirrel.Mac][squirrel-mac]를 기반으로
|
|||
따라서 이 모듈을 작동시키기 위해 특별히 준비해야 할 작업은 없습니다.
|
||||
서버 사이드 요구 사항은 [서버 지원][server-support]을 참고하세요.
|
||||
|
||||
**참고:** Mac OS X에서 자동 업데이트를 지원하려면 반드시 사인이 되어있어야 합니다.
|
||||
이것은 `Squirrel.Mac`의 요구사항입니다.
|
||||
|
||||
### Windows
|
||||
|
||||
Windows에선 `auto-updater` 모듈을 사용하기 전에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장치에
|
||||
|
@ -95,5 +104,7 @@ Returns:
|
|||
[squirrel-mac]: https://github.com/Squirrel/Squirrel.Mac
|
||||
[server-support]: https://github.com/Squirrel/Squirrel.Mac#server-support
|
||||
[squirrel-windows]: https://github.com/Squirrel/Squirrel.Windows
|
||||
[installer]: https://github.com/atom/grunt-electron-installer
|
||||
[installer]: https://github.com/electron/grunt-electron-installer
|
||||
[app-user-model-id]: https://msdn.microsoft.com/en-us/library/windows/desktop/dd378459(v=vs.85).aspx
|
||||
[electron-release-server]: https://github.com/ArekSredzki/electron-release-server
|
||||
[squirrel-updates-server]: https://github.com/Aluxian/squirrel-updates-server
|
||||
|
|
|
@ -173,6 +173,8 @@ win.show();
|
|||
* `defaultMonospaceFontSize` Integer - 기본값 `13`.
|
||||
* `minimumFontSize` Integer - 기본값 `0`.
|
||||
* `defaultEncoding` String - 기본값 `ISO-8859-1`.
|
||||
* `backgroundThrottling` Boolean - 페이지가 백그라운드 상태에 진입할 때 애니메이션과
|
||||
타이머에 스로틀을 적용할지 여부입니다. 기본값은 `true`입니다.
|
||||
|
||||
## Events
|
||||
|
||||
|
|
|
@ -20,7 +20,7 @@ crashReporter.start({
|
|||
있습니다:
|
||||
|
||||
* [socorro](https://github.com/mozilla/socorro)
|
||||
* [mini-breakpad-server](https://github.com/atom/mini-breakpad-server)
|
||||
* [mini-breakpad-server](https://github.com/electron/mini-breakpad-server)
|
||||
|
||||
## Methods
|
||||
|
||||
|
|
|
@ -1,6 +1,6 @@
|
|||
# Frameless Window
|
||||
|
||||
Frameless Window는 [창 테두리](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Glossary/Chrome)가
|
||||
Frameless Window는 [창 테두리](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Glossary/Chrome)가
|
||||
없는 윈도우를 말합니다. 이 기능은 윈도우의 일부분인 툴바와 같이 웹 페이지의 일부분이
|
||||
아닌 부분을 보이지 않도록 합니다. [`BrowserWindow`](browser-window.md) 클래스의
|
||||
옵션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
|
|
|
@ -1,6 +1,6 @@
|
|||
# Menu
|
||||
|
||||
`menu` 클래스는 어플리케이션 메뉴와 [컨텍스트 메뉴](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Mozilla/Tech/XUL/PopupGuide/ContextMenus)를
|
||||
`menu` 클래스는 어플리케이션 메뉴와 [컨텍스트 메뉴](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Mozilla/Tech/XUL/PopupGuide/ContextMenus)를
|
||||
만들 때 사용됩니다. 이 모듈은 메인 프로세스용 모듈이지만 `remote` 모듈을 통해 랜더러
|
||||
프로세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
|
@ -382,4 +382,4 @@ OS X에선 지정한 어플리케이션 메뉴에 상관없이 메뉴의 첫번
|
|||
```
|
||||
|
||||
[AboutInformationPropertyListFiles]: https://developer.apple.com/library/ios/documentation/general/Reference/InfoPlistKeyReference/Articles/AboutInformationPropertyListFiles.html
|
||||
[setMenu]: https://github.com/electron/electron/blob/master/docs-translations/ko-KR/api/browser-window.md#winsetmenumenu-linux-windows
|
||||
[setMenu]: ./browser-window.md#winsetmenumenu-linux-windows
|
||||
|
|
|
@ -34,7 +34,7 @@ win.loadURL('https://github.com');
|
|||
않습니다. 대신에 이 `BrowserWindow` 객체는 메인 프로세스에서 생성되며 랜더러
|
||||
프로세스에 `win` 객체와 같이 이에 대응하는 remote 객체를 반환합니다.
|
||||
|
||||
참고로 remote를 통해선 [enumerable 속성](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Enumerability_and_ownership_of_properties)을
|
||||
참고로 remote를 통해선 [enumerable 속성](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Enumerability_and_ownership_of_properties)을
|
||||
가진 프로퍼티에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
|
||||
|
||||
## Remote 객체의 생명 주기
|
||||
|
|
|
@ -78,5 +78,5 @@ require('electron').hideInternalModules()
|
|||
```
|
||||
|
||||
[gui]: https://en.wikipedia.org/wiki/Graphical_user_interface
|
||||
[destructuring-assignment]: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Operators/Destructuring_assignment
|
||||
[destructuring-assignment]: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Operators/Destructuring_assignment
|
||||
[issue-387]: https://github.com/electron/electron/issues/387
|
||||
|
|
|
@ -17,9 +17,15 @@
|
|||
수 있습니다:
|
||||
|
||||
```html
|
||||
<webview id="foo" src="https://www.github.com/"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640px; height:480px"></webview>
|
||||
<webview id="foo" src="https://www.github.com/" style="display:inline-flex; width:640px; height:480px"></webview>
|
||||
```
|
||||
|
||||
주의할 점은 `webview` 태그의 스타일은 전통적인 flexbox 레이아웃을 사용했을 때 자식
|
||||
`object` 요소가 해당 `webview` 컨테이너의 전체 높이와 넓이를 확실히 채우도록
|
||||
내부적으로 `display:flex;`를 사용합니다. (v0.36.11 부터) 따라서 인라인 레이아웃을
|
||||
위해 `display:inline-flex;`를 쓰지 않는 한, 기본 `display:flex;` CSS 속성을
|
||||
덮어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
|
||||
게스트 컨텐츠를 조작하기 위해 자바스크립트로 `webview` 태그의 이벤트를 리스닝 하여
|
||||
응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 예제를 참고하세요: 첫번째 리스너는 페이지 로딩 시작시의
|
||||
이벤트를 확인하고 두번째 리스너는 페이지의 로딩이 끝난시점을 확인합니다. 그리고
|
||||
|
|
|
@ -30,13 +30,13 @@ C++ 코드는 많은 Chromium의 추상화와 타입을 사용합니다. 따라
|
|||
[github/atom](https://github.com/github/atom)에서 사용되는 모듈의 이름은 보통
|
||||
`module-name` 형식이기 때문입니다. 이 규칙은 '.js' 파일에만 적용됩니다.
|
||||
* 적절한 곳에 새로운 ES6/ES2015 문법을 사용해도 됩니다.
|
||||
* [`const`](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Statements/const)
|
||||
* [`const`](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Statements/const)
|
||||
는 requires와 다른 상수에 사용합니다
|
||||
* [`let`](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Statements/let)
|
||||
* [`let`](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Statements/let)
|
||||
은 변수를 정의할 때 사용합니다
|
||||
* [Arrow functions](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Functions/Arrow_functions)
|
||||
* [Arrow functions](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Functions/Arrow_functions)
|
||||
는 `function () { }` 표현 대신에 사용합니다
|
||||
* [Template literals](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Template_literals)
|
||||
* [Template literals](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Template_literals)
|
||||
는 `+`로 문자열을 합치는 대신 사용합니다.
|
||||
|
||||
## API 이름
|
||||
|
|
|
@ -147,7 +147,7 @@ npm uninstall -g electron
|
|||
[memory-management]: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Memory_Management
|
||||
[variable-scope]: https://msdn.microsoft.com/library/bzt2dkta(v=vs.94).aspx
|
||||
[electron-module]: https://www.npmjs.com/package/electron
|
||||
[storage]: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Storage
|
||||
[local-storage]: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Window/localStorage
|
||||
[session-storage]: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Window/sessionStorage
|
||||
[indexed-db]: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IndexedDB_API
|
||||
[storage]: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Storage
|
||||
[local-storage]: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Window/localStorage
|
||||
[session-storage]: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Window/sessionStorage
|
||||
[indexed-db]: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IndexedDB_API
|
||||
|
|
|
@ -50,7 +50,7 @@ Electron 문서 구조를 이해하는 데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도움
|
|||
|
||||
### Methods
|
||||
|
||||
[Method](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Glossary/Method) 문서의
|
||||
[Method](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Glossary/Method) 문서의
|
||||
예제입니다:
|
||||
|
||||
---
|
||||
|
@ -66,16 +66,16 @@ Electron 문서 구조를 이해하는 데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도움
|
|||
묶어 이 인수가 다른 인수뒤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합니다.
|
||||
|
||||
메서드 이름 하단에선 각 인수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합니다. 인수의 타입은:
|
||||
[`String`](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String),
|
||||
[`Number`](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Number),
|
||||
[`Object`](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Object),
|
||||
[`Array`](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Array)
|
||||
[`String`](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String),
|
||||
[`Number`](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Number),
|
||||
[`Object`](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Object),
|
||||
[`Array`](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Array)
|
||||
와 같은 일반적으로 쓰이는 타입 중 하나를 받거나 Electron의 [`webContent`](api/web-content.md)
|
||||
같은 커스텀 타입을 받습니다.
|
||||
|
||||
### Events
|
||||
|
||||
[Event](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Event) 문서의 예제입니다:
|
||||
[Event](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Event) 문서의 예제입니다:
|
||||
|
||||
---
|
||||
|
||||
|
|
|
@ -30,7 +30,7 @@ electron/resources/app
|
|||
|
||||
## asar로 앱 패키징 하기
|
||||
|
||||
소스파일 전체를 복사해서 배포하는 것과는 별개로 [asar](https://github.com/atom/asar)
|
||||
소스파일 전체를 복사해서 배포하는 것과는 별개로 [asar](https://github.com/electron/asar)
|
||||
아카이브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소스코드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
|
||||
`asar` 아카이브를 사용할 땐 단순히 `app` 폴더 대신에 어플리케이션을 패키징한
|
||||
|
|
|
@ -179,4 +179,4 @@ $ asar pack app app.asar --unpack *.node
|
|||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할 때 반드시 해당 폴더도 같이 배포해야
|
||||
합니다.
|
||||
|
||||
[asar]: https://github.com/atom/asar
|
||||
[asar]: https://github.com/electron/asar
|
||||
|
|
|
@ -11,7 +11,7 @@ Electron의 V8 버전에 맞춰 네이티브 모듈을 다시 빌드하고 헤
|
|||
node.js의 버전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Electron에서 사용하는 node 버전은
|
||||
[releases](https://github.com/electron/electron/releases)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
||||
`process.version`을 출력하여 버전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
||||
([시작하기](https://github.com/electron/electron/blob/master/docs/tutorial/quick-start.md)의
|
||||
([시작하기](./quick-start.md)의
|
||||
예제를 참고하세요)
|
||||
|
||||
혹시 직접 만든 네이티브 모듈이 있다면 [NAN](https://github.com/nodejs/nan/) 모듈을
|
||||
|
|
Loading…
Add table
Add a link
Reference in a new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