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pdate as upstream
[ci skip]
This commit is contained in:
parent
b461969114
commit
2af7c37d13
4 changed files with 102 additions and 5 deletions
|
@ -519,6 +519,12 @@ dock 아이콘을 표시합니다.
|
|||
|
||||
어플리케이션의 [dock menu][dock-menu]를 설정합니다.
|
||||
|
||||
### `app.dock.setIcon(image)` _OS X_
|
||||
|
||||
* `image` [NativeImage](native-image.md)
|
||||
|
||||
dock 아이콘의 `image`를 설정합니다.
|
||||
|
||||
[dock-menu]:https://developer.apple.com/library/mac/documentation/Carbon/Conceptual/customizing_docktile/concepts/dockconcepts.html#//apple_ref/doc/uid/TP30000986-CH2-TPXREF103
|
||||
[tasks]: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windows/desktop/dd378460(v=vs.85).aspx#tasks
|
||||
[app-user-model-id]: https://msdn.microsoft.com/en-us/library/windows/desktop/dd378459(v=vs.85).aspx
|
||||
|
|
|
@ -80,9 +80,9 @@ win.show();
|
|||
여부. 기본값은 `false`입니다.
|
||||
* `enableLargerThanScreen` Boolean - 윈도우 크기가 화면 크기보다 크게 재조정 될
|
||||
수 있는지 여부. 기본값은 `false`입니다.
|
||||
* `backgroundColor` String - `#66CD00` 와 `#FFF` 같이 16진수로 표현된 윈도우의
|
||||
배경 색. 기본값은 Linux와 Windows에선 `#000` (검정)이며, Mac에선 `#FFF` (또는,
|
||||
만약 transparent(투명)일 경우 clear(색 없음)로 설정)
|
||||
* `backgroundColor` String - `#66CD00` 와 `#FFF`, `#80FFFFFF` (알파 지원됨) 같이
|
||||
16진수로 표현된 윈도우의 배경 색. 기본값은 Linux와 Windows에선 `#000` (검정)이며,
|
||||
Mac에선 `#FFF` (또는, transparent(투명)일 경우 clear(색 없음)로 설정)
|
||||
* `hasShadow` Boolean - 윈도우가 그림자를 가질지 여부를 지정합니다. 이 속성은
|
||||
OS X에서만 구현되어 있습니다. 기본값은 `true`입니다.
|
||||
* `darkTheme` Boolean - 설정에 상관 없이 무조건 어두운 윈도우 테마를 사용합니다.
|
||||
|
@ -302,6 +302,14 @@ someWindow.on('app-command', function(e, cmd) {
|
|||
});
|
||||
```
|
||||
|
||||
### Event: 'scroll-touch-begin' _OS X_
|
||||
|
||||
스크롤 휠 이벤트가 동작하기 시작했을 때 발생하는 이벤트입니다.
|
||||
|
||||
### Event: 'scroll-touch-end' _OS X_
|
||||
|
||||
스크롤 휠 이벤트가 동작을 멈췄을 때 발생하는 이벤트입니다.
|
||||
|
||||
## Methods
|
||||
|
||||
`BrowserWindow` 객체는 다음과 같은 메서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
||||
|
@ -568,14 +576,14 @@ var win = new BrowserWindow({ width: 800, height: 600 });
|
|||
사용자에 의해 윈도우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반환합니다. Linux에선 항상 `true`를
|
||||
반환합니다.
|
||||
|
||||
### `win.setFullscreenable(fullscreenable)` _OS X_
|
||||
### `win.setFullScreenable(fullscreenable)` _OS X_
|
||||
|
||||
* `fullscreenable` Boolean
|
||||
|
||||
최대화/줌 버튼이 전체화면 모드 또는 윈도우 최대화를 토글할 수 있게 할지 여부를
|
||||
지정합니다. Windows와 Linux에선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
||||
|
||||
### `win.isFullscreenable()` _OS X_
|
||||
### `win.isFullScreenable()` _OS X_
|
||||
|
||||
최대화/줌 버튼이 전체화면 모드 또는 윈도우 최대화를 토글할 수 있게 할지 여부를
|
||||
반환합니다. Windows와 Linux에선 항상 `true`를 반환합니다.
|
||||
|
|
|
@ -823,3 +823,73 @@ win.webContents.on('did-finish-load', function() {
|
|||
|
||||
**참고:** 사용자가 절대로 이 객체를 저장해서는 안 됩니다. 개발자 도구가 닫혔을 때,
|
||||
`null`이 반환될 수 있습니다.
|
||||
|
||||
### `webContents.debugger`
|
||||
|
||||
디버거 API는 [원격 디버깅 프로토콜][rdp]에 대한 대체 수송자 역할을 합니다.
|
||||
|
||||
```javascript
|
||||
try {
|
||||
win.webContents.debugger.attach("1.1");
|
||||
} catch(err) {
|
||||
console.log("Debugger attach failed : ", err);
|
||||
};
|
||||
|
||||
win.webContents.debugger.on('detach', function(event, reason) {
|
||||
console.log("Debugger detached due to : ", reason);
|
||||
});
|
||||
|
||||
win.webContents.debugger.on('message', function(event, method, params) {
|
||||
if (method == "Network.requestWillBeSent") {
|
||||
if (params.request.url == "https://www.github.com")
|
||||
win.webContents.debugger.detach();
|
||||
}
|
||||
})
|
||||
|
||||
win.webContents.debugger.sendCommand("Network.enable");
|
||||
```
|
||||
|
||||
#### `webContents.debugger.attach([protocolVersion])`
|
||||
|
||||
* `protocolVersion` String (optional) - 요쳥할 디버깅 프로토콜의 버전.
|
||||
|
||||
`webContents`에 디버거를 부착합니다.
|
||||
|
||||
#### `webContents.debugger.isAttached()`
|
||||
|
||||
디버거가 `webContents`에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반환합니다.
|
||||
|
||||
#### `webContents.debugger.detach()`
|
||||
|
||||
`webContents`로부터 디버거를 분리시킵니다.
|
||||
|
||||
#### `webContents.debugger.sendCommand(method[, commandParams, callback])`
|
||||
|
||||
* `method` String - 메서드 이름, 반드시 원격 디버깅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메서드중
|
||||
하나가 됩니다.
|
||||
* `commandParams` Object (optional) - 요청 매개변수를 표현한 JSON 객체.
|
||||
* `callback` Function (optional) - 응답
|
||||
* `error` Object - 커맨드의 실패를 표시하는 에러 메시지.
|
||||
* `result` Object - 원격 디버깅 프로토콜에서 커맨드 설명의 'returns' 속성에 의해
|
||||
정의된 응답
|
||||
|
||||
지정한 커맨드를 디버깅 대상에게 전송합니다.
|
||||
|
||||
#### Event: 'detach'
|
||||
|
||||
* `event` Event
|
||||
* `reason` String - 디버거 분리 사유.
|
||||
|
||||
디버깅 세션이 종료될 때 발생하는 이벤트입니다. `webContents`가 닫히거나 개발자 도구가
|
||||
부착된 `webContents`에 대해 호출될 때 발생합니다.
|
||||
|
||||
#### Event: 'message'
|
||||
|
||||
* `event` Event
|
||||
* `method` String - 메서드 이름.
|
||||
* `params` Object - 원격 디버깅 프로토콜의 'parameters' 속성에서 정의된 이벤트
|
||||
매개변수
|
||||
|
||||
디버깅 타겟이 관련 이벤트를 발생시킬 때 마다 발생하는 이벤트입니다.
|
||||
|
||||
[rdp]: https://developer.chrome.com/devtools/docs/debugger-protocol
|
||||
|
|
|
@ -77,5 +77,18 @@ delete window.module;
|
|||
</head>
|
||||
```
|
||||
|
||||
## `require('electron').xxx`가 undefined를 반환합니다.
|
||||
|
||||
Electron의 빌트인 모듈을 사용할 때,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
||||
```
|
||||
> require('electron').webFrame.setZoomFactor(1.0);
|
||||
Uncaught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y 'setZoomLevel' of undefined
|
||||
```
|
||||
|
||||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npm의 `electron` 모듈이 로컬 또는 전역 중 한 곳에
|
||||
설치되어, Electron의 빌트인 모듈을 덮어씌우는 바람에 빌트인 모듈을 사용할 수 없기
|
||||
때문입니다. 설치된 모듈을 지우거나 이름을 변경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
|
||||
[memory-management]: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Memory_Management
|
||||
[variable-scope]: https://msdn.microsoft.com/library/bzt2dkta(v=vs.94).aspx
|
||||
|
|
Loading…
Add table
Add a link
Reference in a new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