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pdate as upstream

[ci skip]
This commit is contained in:
Plusb Preco 2016-01-29 09:09:26 +09:00 committed by Cheng Zhao
parent 8348910483
commit 0fe829cff7
2 changed files with 50 additions and 13 deletions

View file

@ -50,14 +50,26 @@ app.on('ready', function() {
`completion` 콜백은 `scheme`가 성공적으로 등록되었을 때 `completion(null)` 형식으로
호출되고, 등록에 실패했을 땐 `completion(error)` 형식으로 에러 내용을 담아 호출됩니다.
* `request` Object
* `url` String
* `referrer` String
* `method` String
* `uploadData` Array (optional)
* `callback` Function
The `uploadData` is an array of `data` objects:
* `data` Object
* `bytes` Buffer - Content being sent.
* `file` String - Path of file being uploaded.
`request`를 처리할 때 반드시 파일 경로 또는 `path` 속성을 포함하는 객체를 인자에
포함하여 `callback`을 호출해야 합니다. 예: `callback(filePath)` 또는
`callback({path: filePath})`.
만약 `callback`이 아무 인자도 없이 호출되거나 숫자나 `error` 프로퍼티를 가진 객체가
인자로 전달될 경우 `request`는 지정한 `error` 코드(숫자)를 출력합니다. 사용할 수 있는
에러 코드는 [네트워크 에러 목록](https://code.google.com/p/chromium/codesearch#chromium/src/net/base/net_error_list.h)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에러 코드는 [네트워크 에러 목록][net-erro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scheme``http:`와 같이 처리됩니다. `file:`과 같이 "일반적인 URI 문법"
과는 다르게 인식되는 프로토콜은 `protocol.registerStandardSchemes`을 사용하여 표준
@ -69,9 +81,11 @@ app.on('ready', function() {
* `handler` Function
* `completion` Function (optional)
`scheme``Buffer`를 응답으로 보내는 프로토콜을 등록합니다. 반드시 `Buffer` 또는
`data`, `mimeType`, `chart` 속성을 포함한 객체 중 하나를 인자에 포함하여
`callback`을 호출해야 합니다.
`Buffer`를 응답으로 전송하는 `scheme`의 프로토콜을 등록합니다.
사용법은 `callback`이 반드시 `Buffer` 객체 또는 `data`, `mimeType`, `charset`
속성을 포함하는 객체와 함께 호출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registerFileProtocol`
사용법이 같습니다.
예제:
@ -90,9 +104,11 @@ protocol.registerBufferProtocol('atom', function(request, callback) {
* `handler` Function
* `completion` Function (optional)
`scheme``문자열`을 응답으로 보내는 프로토콜을 등록합니다. 반드시 `문자열` 또는
`data`, `mimeType`, `chart` 속성을 포함한 객체 중 하나를 인자에 포함하여
`callback`을 호출해야 합니다.
`String`을 응답으로 전송할 `scheme`의 프로토콜을 등록합니다.
사용법은 `callback`이 반드시 `String` 또는 `data`, `mimeType`, `charset` 속성을
포함하는 객체와 함께 호출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registerFileProtocol`
사용법이 같습니다.
### `protocol.registerHttpProtocol(scheme, handler[, completion])`
@ -100,17 +116,26 @@ protocol.registerBufferProtocol('atom', function(request, callback) {
* `handler` Function
* `completion` Function (optional)
`scheme`에 HTTP 요청을 응답으로 보내는 프로토콜을 등록합니다. 반드시 `url`,
`method`, `referrer`, `uploadData` 그리고 `session` 속성을 포함하는 객체를 인자에
포함하여 `callback`을 호출해야 합니다.
HTTP 요청을 응답으로 전송할 `scheme`의 프로토콜을 등록합니다.
사용법은 `callback`이 반드시 `url`, `method`, `referrer`, `uploadData`
`session` 속성을 포함하는 `redirectRequest` 객체와 함께 호출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registerFileProtocol`과 사용법이 같습니다.
* `redirectRequest` Object
* `url` String
* `method` String
* `session` Object (optional)
* `uploadData` Object (optional)
기본적으로 HTTP 요청은 현재 세션을 재사용합니다. 만약 서로 다른 세션에 요청을 보내고
싶으면 `session``null`로 지정해야 합니다.
POST 요청은 반드시 `uploadData` 객체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POST 요청에는 반드시 `uploadData` 객체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 `uploadData` object
* `contentType` String - 컨텐츠의 MIME 타입.
* `data` String - 전송할 컨텐츠.
* `data` String - 전송할 컨텐츠.
### `protocol.unregisterProtocol(scheme[, completion])`
@ -167,3 +192,5 @@ POST 요청은 반드시 `uploadData` 객체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 `completion` Function (optional)
가로챈 `scheme`를 삭제하고 기본 핸들러로 복구합니다.
[net-error]: https://code.google.com/p/chromium/codesearch#chromium/src/net/base/net_error_list.h

View file

@ -329,6 +329,14 @@ session.defaultSession.webRequest.onBeforeSendHeaders(filter, function(details,
* `method` String
* `resourceType` String
* `timestamp` Double
* `uploadData` Array (optional)
* `callback` Function
`uploadData``data` 객체의 배열입니다:
* `data` Object
* `bytes` Buffer - 전송될 컨텐츠.
* `file` String - 업로드될 파일의 경로.
`callback``response` 객체와 함께 호출되어야 합니다:
@ -353,6 +361,7 @@ HTTP 요청을 보내기 전 요청 헤더를 사용할 수 있을 때 `listener
* `resourceType` String
* `timestamp` Double
* `requestHeaders` Object
* `callback` Function
`callback``response` 객체와 함께 호출되어야 합니다:
@ -395,6 +404,7 @@ HTTP 요청을 보내기 전 요청 헤더를 사용할 수 있을 때 `listener
* `statusLine` String
* `statusCode` Integer
* `responseHeaders` Object
* `callback` Function
`callback``response` 객체와 함께 호출되어야 합니다: